본문 바로가기
정보

축의금 봉투 쓰는 법! 예의 바르게 작성하는 방법

by 정지호아 2025. 3. 13.
반응형

결혼식이나 돌잔치, 회갑연 등 경사가 있을 때 축의금 봉투를 준비하는 일이 많죠.
그런데 막상 봉투를 작성하려고 하면, 어떻게 축의금 봉투를 써야 하는지 헷갈릴때가 있으시죠.

오늘은 축의금 봉투 쓰는 법예의 바르게 작성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축의금 봉투, 어디에 무엇을 써야 할까?

✅ 1️⃣ 봉투 앞면 (표지)

✔ "축의금(祝儀金)" 혹은 "축하드립니다"라고 작성
✔ 또는 "結婚祝賀" (결혼 축하), "百日祝賀" (백일 축하) 등 행사에 맞게 작성 가능
✔ 한자로 쓰지 않아도 무방하며, 한글로 "축하드립니다"라고 적어도 괜찮아요.

📌 TIP! 보통 시중에서 판매하는 봉투에는 "祝儀" 또는 "祝賀"가 미리 인쇄되어 있어요.

✅ 2️⃣ 봉투 뒷면 (작성 필수!)

봉투 뒷면 작성법

왼쪽 하단에 자신의 이름을 작성
✔ 단체로 낼 경우 대표자의 이름만 적거나, "○○○ 외 ○명"으로 표기 가능
✔ 봉투에 연락처를 적는 경우도 있지만, 꼭 적을 필요는 없음

📌 TIP! 신랑·신부 측 관계를 표시하고 싶다면 "신랑 측 ○○○" 또는 "신부 측 ○○○"로 작성 가능!

축의금 금액 & 넣는 방법

✅ 얼마를 넣어야 할까?

축의금 금액

✔ 보통 3만 원, 5만 원, 10만 원이 기본적인 축의금 금액
✔ 가까운 친구나 가족이라면 10만 원 이상
✔ 직장 동료는 보통 5만 원 정도가 일반적

📌 TIP! 4, 9로 끝나는 금액(4만 원, 9만 원 등)은 피하는 것이 좋음! (불길한 숫자로 여겨짐)

✅ 지폐는 어떻게 넣어야 할까?

새 지폐를 준비하는 것이 예의
돈의 앞면(인물 얼굴이 보이는 면)이 봉투 앞쪽을 향하도록 넣기
✔ 지폐를 접지 않고 넣는 것이 좋지만, 불가피할 경우 반으로 접어 넣어도 괜찮음

📌 TIP! 미리 은행에서 새 지폐로 교환해두면 더욱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어요!

❌ 축의금 봉투 작성할 때 주의할 점

축의금 봉투 작성 시 주의사항

붉은색 펜은 절대 사용하지 않기! (불길한 의미)
축의금 봉투는 깨끗한 봉투를 사용 (구겨진 봉투는 피하기)
축의금을 봉투에 넣고 봉투를 테이프로 붙이지 않기
홀수 금액(3, 5, 7, 10만 원)으로 맞추는 것이 일반적 (짝수는 나눠지는 의미가 있어 피하는 경우가 많음)


축의금 봉투, 이렇게 작성하세요!

봉투 앞면 → "축의금" 또는 "축하드립니다" 작성
봉투 뒷면 → 왼쪽 하단에 이름 기재
축의금 금액 → 보통 3만 원, 5만 원, 10만 원 (짝수 금액 피하기)
새 지폐 사용 & 앞면이 보이게 넣기
붉은색 펜 사용 금지 & 봉투 깨끗하게 준비

📌 이제 축의금 봉투 작성, 어렵지 않죠? 😊
올바른 방법으로 정성스럽게 준비해서, 축하의 마음을 전해보세요!

반응형

#aside { position: sticky; position: -webkit-sticky; top: -60px; }